팜폐수(POME) 증발 농축 처리 프로세스 [GS칼텍스]
GS칼텍스가 인도네시아 동부에 위치한 팜유공장에서 발생하는 팜폐수(Palm Oil Mill Effluent)를 재활용해 바이오원료를 확보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한다.
GS칼텍스는 기획재정부와 한국수출입은행이 추진하는 '2025년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본타당성조사 지원사업' 과제 업체로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글로벌 팜유 생산 및 수출 1위 국가로 인도네시아의 팜폐수 처리 문제는 글로벌 이슈다. 팜폐수는 보통 여러 단계의 개방형 연못을 거쳐 유기물 분해 처리되는데, 이 과정에서 다량의 메탄(CH₄)이 대기로 방출된다.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 협의체(IPCC)에 따르면, 배출 후 100년을 기준으로 볼 때 메탄의 지구온난화 지수는 이산화탄소 보다 28배나 높다.
GS칼텍스는 인도네시아 최초로 팜폐수 증발 농축 처리 시설을 도입해 팜폐수 부패를 억제함으로써 메탄 발생을 감축시키고, 팜폐수를 재활용해 팜폐유를 회수할 계획이다.
팜폐유는 지속가능항공유(SAF) 등 바이오연료에 활용할 수 있다. 처리 과정 중 함께 회수되는 물과 침전물은 팜농장 용수와 퇴비로 재사용한다.
GS칼텍스는 6개월간 본타당성 조사를 벌여 온실가스 감축 효과, 사업 경제성 등을 평가해 긍정적 결과가 나오면 투자 규모와 시기를 판단할 예정이다.
사업 추진 시 팜폐수 증발 농축 시설 설비 1기당 연간 12만tCO2eq(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는 단위) 이상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것으로 GS칼텍스는 예상했다. 이는 30년생 소나무 1천395만 그루가 연간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에 해당된다.
GS칼텍스 관계자는 "팜폐수 증발 농축 처리는 기존의 메탄 포집 방식보다 쉽고, 팜폐수를 발생 즉시 처리함으로써 부패를 막아 메탄 감축 효과가 크다"며 "본타당성 조사 결과에 따라 인도네시아의 팜농장을 대상으로 사업 추진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GS칼텍스는 1996년부터 GS칼텍스의 전신인 LG정유가 후원해 창설한 'GS칼텍스배 프로기전'을 계속 후원하고 있고, 2006년부터는 매년 KB국민은행 한국바둑리그에 'Kixx' 팀으로 참가하고 있다.
25일 현재 30주년을 맞은 GS칼텍스배 프로기전이 진행 중이다. 지난 3월 개막전으로 시작된 대회는 다음달에 신진서 9단과 안성준 9단이 우승컵을 두고 맞붙는다. 결승 5번기는 7월 19일 1국을 시작으로 2국(20일), 3국(22일), 4국(23일), 5국(24일)이 진행된다.
제30기 GS칼텍스배 프로기전의 우승 상금은 7천만 원, 준우승 상금은 3천만 원이다.
또한 GS칼텍스는 지난해 Kixx에서 팀명을 'GS칼텍스팀'으로 변경하고 참가한 2024-2025 KB국민은행 한국바둑리그에서 정규 리그 5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GS칼텍스팀은 창단 첫 해 우승에 이어 2022-2023리그 챔피언에 오른 바 있다.